덴지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지 천황은 조메이 천황과 고교쿠 천황의 아들로, 645년 후지와라노 가마타리와 함께 소가노 이루카를 암살하는 을사의 변을 일으킨 후 고토쿠 천황을 옹립하고 다이카 개신을 추진했다. 백제 부흥 운동을 지원했으나 백강 전투에서 패배한 후, 나당 연합군의 침공에 대비하여 방비를 강화하고, 668년 즉위했다. 덴지 천황은 오미쿄로 천도하고 고대 일본의 호적 제도를 정비하는 등 내정을 개혁했으며, 672년 사망했다. 그는 아들인 고분 천황에게 황위를 물려주려 했으나, 덴지 천황 사후 임신의 난이 발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메이 천황과 고교쿠 천황의 자녀 - 덴무 천황
덴무 천황은 덴지 천황의 뒤를 이어 임신의 난으로 즉위한 일본 제40대 천황(재위: 672년~686년)으로, 중앙 집권적 통치 강화, 율령 제정 추진, 신도와 불교 진흥, 일본 고유 문화 발굴 및 정비, "천황" 칭호와 "일본" 국호 최초 사용 등의 업적을 남겼다. - 626년 출생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626년 출생 - 이라클로나스
이라클로나스는 7세기 비잔티움 제국 황제 헤라클리우스의 아들로, 공동 황제 즉위 후 모후와의 단독 통치 시도와 암살 의혹으로 폐위되어 절단형 후 추방당하는 비운을 맞았으며, 그의 통치는 비잔틴 제국 정치사의 전환점이자 폐위된 황제에게 절단형이 가해진 최초 사례로 기록되었다. - 672년 사망 - 고분 천황
고분 천황은 덴지 천황의 아들이자 태정대신이었으나, 임신왜란에서 패배 후 자결하였고, 메이지 시대에 천황으로 추증되었으나 즉위 여부는 논쟁 중이다. - 672년 사망 - 교황 비탈리아노
비탈리아노는 657년부터 672년까지 교황으로 재위하며 동로마 제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단의설 논쟁을 해결하려 노력했으며, 잉글랜드 교회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교회 음악에 파이프 오르간을 도입했으며,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성인으로 숭배받는다.
덴지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오키미 (야마토 대왕) |
한풍 시호 | 덴지 천황 (天智天皇) |
화풍 시호 | 아메노코토히라카스와케노스메라미코토 (天命開別天皇) |
휘 | 가쓰라기 (葛城) |
별명 | 가쓰라기노 오지 (葛城皇子) 나카노오에노오지 (中大兄皇子) |
재위 기간 | 661년 - 672년 |
시대 | 아스카 시대 |
수도 | 오미 |
거처 | 오미오쓰 궁 |
출생 | 626년 |
사망 | 672년 1월 7일 |
사망 장소 | 오미노미야 (시가) |
능묘 | 야마시나 능(山科陵) (교토) |
왕조 | 일본 황실 |
가문 | 야마토 왕조 |
선대 | 사이메이 천황 |
후대 | 고분 천황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조메이 천황 |
어머니 | 고교쿠 천황 |
배우자 | 야마토히메노 오오키미 |
자녀 | |
황녀 | 오타 황녀 지토 천황 미나베 황녀 겐메이 천황 야마노베 황녀 아스카 황녀 니이타베 황녀 오에 황녀 이즈미 황녀 미누시 황녀 |
황자 | 고분 천황 |
기타 정보 | |
연호 | (없음) |
존호 | (없음) |
섭정 | (없음) |
재상 | 황친태정대신 오토모 황자 (671년-672년) |
수상 | (없음) |
총리 | (없음) |
부인 | 고시노미치노키미 이라쓰메 |
궁녀 | 야카코노이라쓰메 오시우미노시코오노이라쓰메 구리쿠마노오비토 구로히메노이라쓰메 |
2. 생애
조메이 천황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고교쿠 천황(사이메이 천황)이다. 즉위 전에는 나카노오에 황자(中大兄皇子)로 불렸다.
나카노오에는 645년 나카토미노 가마타리와 함께 소가노 이루카를 암살하고 (을사의 변) 아버지 소가노 에미시를 자결하게 만들어 소가씨 중심의 정치 체제를 무너뜨렸다. 이후 고토쿠 천황을 옹립하고 황태자가 되어 다이카 개신을 주도했다.
660년 백제가 나·당 연합군에게 멸망하자, 백제 부흥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661년 사이메이 천황이 사망할 때까지 쓰쿠시 국에서 직접 군사 지원을 지휘했다. 사이메이 천황 사후에는 황태자 신분으로 칭제하며 실권을 장악, 백제 부흥 운동을 계속 지원했으나 663년 백강구 전투에서 대패하며 좌절되었다.
백강구 전투 이후, 나카노오에는 나·당 연합군의 침공에 대비하여 국방을 강화했다. 664년 쓰시마, 이키, 쓰쿠시 국에 사키모리(변경수비대)와 봉수를 설치하고, 다자이후 서쪽에 미즈키(水城)를 축조했다. 665년에는 나가토에 성을 쌓았으며, 백제 유민들을 시켜 조선식 산성을 축성하게 했다. 667년 오미 국의 오쓰노미야(大津宮)로 천도하고, 668년에 드디어 덴지 천황으로 즉위했다.
덴지 천황은 668년과 670년 두 차례 신라에 사신을 파견하고, 670년에는 일본 최초의 전국적 호적인 「경오년적(庚午年籍)」을 작성하여 공지공민제의 기반을 마련했다.
671년 아들 오토모 황자를 태정대신으로 임명하고, 동생 오아마 황자(덴무 천황)가 황태제 자리를 사퇴하게 한 뒤, 672년 46세의 나이로 붕어하였다. 덴지 천황 사후, 임신의 난이 발발하여 오아마 황자가 승리하고 덴무 천황으로 즉위했다.
덴지 천황의 무덤은 교토 시 야마시나 구에 있는 고뵤우노 고분으로 알려져 있다.[40]
다음은 덴지 천황의 생애를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사건 |
---|---|
626년 | 덴지 천황 탄생 |
645년 | 을사의 변. 소가씨 종가 멸망. 고토쿠 천황의 황태자가 됨. 나니와나가라노도요사키 궁으로 천도 |
646년 | 「개신의 조칙」 발표 |
649년 | 소가노 히나(蘇我日向)의 밀고로 소가의시카와노마로 자결 |
653년 | 고토쿠 천황의 뜻에 반하여 이타부키 궁으로 천도 |
654년 | 고토쿠 천황 붕어 |
655년 | 어머니 다카라 황녀가 사이메이 천황으로 즉위 (고교쿠 천황 중조). 황태자 역할 수행 |
656년 | 오카모토 궁으로 천도 |
658년 | 아리마 황자를 모반죄로 처형 |
659년 | 아베노 히라후에게 에조 원정 명령 |
660년 | 백제 멸망. 부여풍 귀국 |
661년 | 백제 부흥 지원 중 사이메이 천황 붕어. 황태자 신분으로 섭정 |
663년 | 백촌강 전투에서 대패 |
664년 | 갑자의 선 |
667년 | 오미오쓰 궁으로 천도 |
668년 | 덴지 천황 즉위. 덴무 천황을 황태제로 삼음. 고구려 멸망. 「오미 율령」 제정 추정 |
669년 | 나카토미노 가마타리 사망 직전 내대신 임명, 후지와라씨 성 하사 |
670년 | 「경오년적」 작성. 오토모 황자를 태정대신으로 임명 |
671년 | 오아마 황자가 요시노로 떠남. 덴지 천황 붕어 |
2. 1. 어린 시절과 을사의 변
조메이 천황의 둘째 아들로 스이코 천황 34년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조메이 천황, 어머니는 고교쿠 천황(사이메이 천황)이다. 이복형인 후루히토노오에노미코의 딸 야마토히메노오오키미를 황후로 맞이하였으나, 두 사람 사이에 자식은 없었다.645년 7월 10일(고교쿠 천황 4년 음력 6월 12일), 나카토미노 가마타리 등과 모의하여 당시 권신이었던 소가노 이루카를 고교쿠 천황이 보는 앞에서 암살하는 쿠데타를 일으켰다. (을사의 변)[37] 이루카의 아버지 소가노 에미시는 다음 날 자결하였다.
이 쿠데타의 성공으로 소가 씨족이 황족을 거의 완벽하게 통제하던 것을 끝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루카의 지지자들은 거의 저항 없이 흩어졌고, 나카노 오에는 황태자로 지명되었다. 그는 또한 동맹인 소가노 구라야마다노 이시카와노 마로의 딸과 결혼하여 소가 씨족의 상당한 권력이 자신의 편에 있도록 했다.
그 다음 날, 고교쿠 천황의 동모제를 고토쿠 천황으로 즉위시키고, 자신은 황태자가 되어 중심 인물로서 다양한 개혁(다이카 개신)을 실시했다. 또한 아리마노미코 등 유력한 세력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수단을 사용하여 제거했다.
2. 2. 다이카 개신
645년 나카토미노 가마타리 등과 모의하여 고교쿠 천황 앞에서 소가노 이루카를 암살하는 쿠데타를 일으켰다(을사의 변).[26] 이루카의 아버지 소가노 에미시는 다음 날 자결했다.[26] 그 다음 날, 고교쿠 천황의 동모제를 고토쿠 천황으로 즉위시키고, 자신은 황태자가 되어 다이카 개신을 실시했다.[26] 또한 아리마노 미코 등 유력한 세력을 제거했다.[26]2. 3. 백제 부흥 운동과 백강 전투
660년 백제가 신라와 당 연합군에게 멸망하자,[26] 당시 왜 조정에 체류하고 있던 부여풍을 중심으로 한 백제부흥운동 세력이 왜에 지원을 요청했다. 사이메이 천황이 쓰쿠시에서 백제 부흥군 지원을 지휘하던 중 661년에 사망하자, 나카노오에는 황태자로서 실권을 장악하고 칭제[27]하면서 백제 부흥운동을 지원하였다.[28]663년 8월 28일, 백제에 파병된 왜군은 백강(白江) 어귀에서 나·당 연합군에게 대패하였고(백강구 전투), 백제 부흥 운동은 실패로 끝났다.[26]
2. 4. 즉위와 내정 개혁
645년 7월 10일(고교쿠 천황 4년 6월 12일)에, 나카노오에노오지는 나카토미노 가마타리 등과 모의하여 고교쿠 천황 앞에서 소가노 이루카(蘇我入鹿)를 암살하는 쿠데타를 일으켰다(을사의 변).[26] 이루카의 아버지 소가노 에미시(蘇我蝦夷)는 다음 날 자결하였다. 그 다음날 고교쿠 천황의 양위에 따라 고교쿠 천황의 동모제(同母弟)를 고토쿠 천황(孝德天皇, 재위 645~654년)으로 옹립하고, 나카노오에 자신은 황태자가 되어 일본 최초로 연호를 다이카(大化)로 정하고 개혁을 실행했다(다이카 개신).[26] 또한 아리마노미코 등 자신과 대립하던 유력 세력을 여러 가지 수단을 써서 제거해갔다.660년에 백제가 신라 · 당 연합군에게 패하여 수도가 함락되고 의자왕이 항복하였으며,[26] 왕족과 대신들이 당에 포로로 끌려가는 가운데, 복신 · 도침을 중심으로 한 백제부흥운동 세력은 당시 왜 조정에 체류하고 있던 옛 백제의 왕자 부여풍(扶餘豊, 풍장豊璋)을 돌려 보내줄 것을 요청해 왔다. 사이메이 천황은 직접 쓰쿠시까지 나아가 백제 부흥군 지원을 위한 원병 파병에 힘썼으나, 661년 8월 24일(사이메이 천황 7년 7월 24일)에 사망하였다. 이후 나카노오에는 황태자로서 실권을 장악하였으나, 즉위식을 치르지 않고 오랫동안 칭제(稱制)[27]의 형식으로 국정을 맡아보면서 백제 부흥운동을 지원하였다.[28] 그러나 백제에 파병한 구원군은 663년 8월 28일(덴지 천황 2년 7월 20일)에 백강구 전투에서 나·당 연합군에게 처참하게 궤멸되고 백제 부흥 운동은 실패로 돌아갔다.[26]
백강구 전투에서 패한 뒤, 나카노오에는 나당연합군의 침공에 대비하여 방비를 견고히 하기 위해 북큐슈의 쓰시마·이키·쓰쿠시에 사키모리(防人, 변경수비대)[29]와 봉수를 설치하고, 다자이후의 서쪽-쓰쿠시에 평지성인 미즈키(水城)를 축조하였다. (664년)[30] 665년 나가토에 성을 쌓았다.[31] 또 망명해온 백제 유민들인 억례복류(憶礼福留)와 사지복부(四比福夫)를 쓰쿠시에 파견하여 이들로 하여금 쓰시마로부터 기타큐슈, 왕도가 있는 기나이에 이르는 국방상의 요새(오노(大野)와 기에(椽))에 조선식 산성[32]을 축성하였다.[33] 북큐슈에는 군정기관으로서 다자이후(大宰府)를 설치하였고,[34] 관위도 19계에서 26계로 확대하는 등 행정기구를 정비했다. 667년 4월 17일(덴지 6년 3월 19일)에 오우미의 오오츠노미야(大津宮)로 환도하고 이듬해인 668년 2월 20일(덴지 천황 7년 1월 3일)에 비로소 즉위식을 거행했다. 그리고 한 달 뒤인 4월 10일(덴지 천황 7년 2월 23일)에 동모제 오오아마(大海人, 훗날의 덴무 천황)를 황태제(皇太弟)로 삼았다.[35] 667년 11월, 쓰시마에 가네다성(金田城)을 축조케 하였다.[36]
668년과 670년, 두 번에 걸쳐 신라에 사신(견신라사)을 보냈으며, 일본 최고(最古)의 전국적 규모의 호적이라 불리는 「경오년적(庚午年籍)」을 작성해 공지공민제(公地公民制) 도입의 토대를 쌓아나갔다.
671년 1월 2일(덴지 9년 11월 16일)에 제1황자 오오토모노 미코(大友皇子)를 태정대신(太政大臣)으로 삼은 뒤[37], 671년 11월 23일(덴지 10년 10월 17일)에는 오오아마가 병상의 천황 앞에서 스스로 사퇴하는 형식을 빌려 황태자 자리를 오오토모가 대신 받게 되었다.
2. 5. 붕어와 임신의 난
672년 1월 7일(덴지 천황 10년 12월 3일), 덴지 천황은 오미오쓰 궁에서 붕어하였다.[20] 향년 46세였다.덴지 천황은 아들 오토모 황자에게 황위를 잇게 하려 했다고 전해진다(《일본서기》). 그러나 덴지 천황 사후에 임신의 난이 일어났고, 이 난에서 오아마노 황자가 오토모 황자를 꺾고 승리하여 덴무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이후 쇼토쿠 천황까지 덴무계 천황이 황위를 이었다.
쇼토쿠 천황이 붕어한 후에는 덴지 천황의 손자인 시라카베 왕(시키 황자의 아들)이 고닌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이후 덴지계가 황위를 이었다.
일설에는 덴지 천황이 동생인 오아마노 황자에게 누카타노 오키미를 빼앗겼기 때문에 자신의 황녀 4명을 오아마노 황자에게 시집보냈다고도 한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죠메이 천황 |
어머니 | 고교쿠 천황 |
황후 | 야마토히메노오오키미 - 후루히토노오에노황자의 딸 |
빈 | 소가노 오치노이라츠메 - 소가노 쿠라야마다노이시카와마로의 딸 |
장녀 | 오오타노 황녀 - 덴무 천황의 비 |
차녀 | 지토 천황 |
차남 | 타케루노 황자 |
빈 | 소가노 메이노이라츠메 - 소가노 쿠라야마다노이시카와마로의 딸 |
3녀 | 미나베내친왕 |
4녀 | 겐메이 천황 |
빈 | 소가노 히타치노이라츠메 - 소가노 아카에의 딸 |
5녀 | 야마노베노 황녀 |
빈 | 아베노 타치바나노이라츠메 - 아베노 우치마로의 딸 |
6녀 | 아스카노 황녀 |
7녀 | 니이타베노 황녀 - 덴무 천황의 비 |
부인 | 코시노미치노키미노이라츠메 |
5남 | 시키노 황자 |
손자 | 고닌 천황 |
채녀(采女) | 야카코노이라츠메 - 이가노 구니노미야쓰코의 딸 |
장남 | 고분 천황 |
4남 | 아베노 황자[38] |
딸 | 아가노 황녀[38] |
궁인 | 시코부코노이라츠메 |
3남 | 카와시마노 황자 |
딸 | 오오에노 황녀 - 덴무 천황의 비 |
딸 | 이즈미내친왕 |
궁인 | 쿠로히메노이라츠메 |
딸 | 미누시내친왕 |
4. 평가 및 영향
덴지 천황에 대한 평가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하며, 이는 남아있는 자료가 대부분 정치와 관련된 것뿐이라는 제약 때문이다. 따라서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없으며, 향후 고고학적 성과를 포함한 연구의 진전을 기다려야 한다.
'''1. 덴무 천황(오오아마 황자, 大海人皇子)을 지지하던 세력에 대한 배려'''
이 설은 덴무 천황이 덴지 천황의 동생이 아니라, 덴지 천황의 어머니인 사이메이 천황(고교쿠 천황)이 스메이 천황과 혼인하기 전에 낳은 아들로, 덴지 천황과는 아버지가 다른 형제라는 주장이다. 《일본서기》 등의 기록에는 덴무 천황이 덴지 천황의 동생이라고 되어 있지만, 그의 탄생년도를 역산해보면 오히려 덴지 천황보다 나이가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사료들에서는 두 사람 사이에 8~9세 정도의 나이 차이가 난다고 기록되어 있어 모순이 발생한다. 이 설은 아버지가 다르더라도 형이 동생보다 먼저 천황이 되는 것은 왕위 계승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덴지 천황의 나이를 덴무 천황보다 더 끌어올렸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일본서기》에 수록된 덴지 천황의 즉위 당시 16세라는 연령은 사실 아버지 스메이 천황의 즉위 연령을 잘못 기록한 것이며, 실제로는 《본조황윤소운록》(本朝皇胤紹運録)[41] 등에서 언급된 614년이 되어야 한다는 반론이 있다. 또한, 덴무 천황이나 지토 천황 역시 즉위식을 바로 치르지 않았던 것을 보면 고대에는 천황 자리가 공석이 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다이카 개신의 실제 주도 세력으로부터의 견제'''
이 설은 '을사의 변'(645년)이 실제로는 덴지 천황(나카노오에 황자)이 아니라 고토쿠 천황이 되는 가루 황자(輕皇子)의 주도로 발생한 쿠데타이며, 그 때문에 덴지 천황은 황태자의 지위를 잃었다는 주장이다. 최근 일본 학계에서는 덴지 천황과 소가노 이루카의 관계가 양호했으며 기본 정책도 비슷했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덴지 천황이 자신과 정치 성향이 비슷한 소가노 이루카를 살해할 동기가 없다고 본다. 또한, 《일본서기》의 다이카 개신 관련 기록에는 후대의 개찬이 인정된다. 이 설은 사이메이 천황(고교쿠 천황)이 친아들인 덴지 천황의 쿠데타가 성공했음에도 퇴위해야 했던 이유나, 소가노 이루카가 살해된 뒤에도 소가 씨가 조정에서 완전히 퇴출되지 않은 이유 등 여러 의문점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3. 덴지 천황의 난잡한 여성 편력 문제'''
이 설은 덴지 천황의 여자 관계에 대한 반발 때문에 즉위가 늦어졌다는 주장이다. 《일본서기》에는 고토쿠 천황이 아내 하시히토노 히메미코(間人皇女, 덴지 천황의 친여동생)에게 보낸 노래에 그녀가 친오빠인 덴지 천황과 근친상간 관계였음을 암시하는 내용이 있다고 한다. 고대 한반도와 일본에서는 이복 형제·자매 간의 연애나 혼인은 허용되었지만, 동복 형제·자매 간의 연애나 혼인은 엄격하게 금지되었다.
'''4. 숨겨진 또 한 명의 천황의 존재'''
이 설은 사이메이 천황과 덴지 천황 사이에 또 한 명의 천황이 즉위했지만, 어떤 사정으로 인해 기록에서 삭제되었다고 주장한다. 덴지 천황이 7년이나 즉위하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사실은 덴지 천황의 친여동생인 하시히토노 히메미코가 고토쿠 천황의 황후 자격으로 황위를 이었다는 것이다. 이 설의 근거는 《만요슈》(萬葉集)에 나오는 '중황명(中皇命)'이라는 인물이다. 이 중황명이 하시히토노 히메미코이며, 사이메이 천황과 덴지 천황 사이를 잇는 또 한 명의 천황이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왜 그녀만이 특별히 이런 호칭으로 불려야 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5. 나카노오에 자신의 입지 강화를 위한 포석'''
덴지 천황은 원래 유력한 황위 계승자가 아니었다. 스메이 천황의 황후로는 비다쓰 천황과 스이코 천황 사이에서 태어난 황녀가 있었음에도, 비다쓰 천황의 증손녀인 사이메이 천황(고교쿠 천황), 즉 덴지 천황의 생모가 황후가 되었다. 고교쿠 천황이 황족이긴 하지만, 그녀의 소생 중에서 유력한 계승자가 되지 못했고, 고교쿠 천황 역시 짧게 재위하고 퇴위했기 때문에, 덴지 천황은 황위 계승자로서의 우위를 확립하지 못했다. 그래서 을사의 변 이후에도 자신이 바로 즉위하는 대신 황족의 장로였던 가루 황자를 고토쿠 천황으로 즉위시키고, 다시 어머니 고교쿠 천황을 사이메이 천황으로 즉위시킨 후 황태자가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의 황위 계승 정당성을 대내외적으로 알릴 시간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6. 나카노오에의 자충수 - 쿠데타의 진정한 목적'''
소가노 이루카가 대극전에서 천황이 보는 앞에서 덴지 천황의 칼에 맞아 쓰러진 뒤, 소가씨 본종가가 몰락하고 사이메이 천황(고교쿠 천황)은 재위 4년 만에 퇴위했다. 덴지 천황이 일으킨 '을사의 변'의 여파가 소가씨 본종가뿐 아니라, 소가씨의 권력에 의지하고 있던 고교쿠 천황에게까지 미친 것이다. 이는 덴지 천황의 본래 목적이 소가씨 본종가뿐 아니라 그에 의지하는 모든 체제, 심지어 생모인 고교쿠 천황까지도 타도하는 데 있었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고교쿠 천황은 소가씨에 의해 추대된 천황이기도 했다. 덴지 천황은 생모까지 퇴위시키며 소가씨 중심의 체제를 타도하려 했지만, 결국 고토쿠 천황과도 대립하게 되었고, 고토쿠 천황이 죽은 뒤에는 자신의 황위 계승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신이 앞서 행했던 역사를 스스로 부정해야 했다. 고교쿠 천황을 다시 사이메이 천황으로 복위시킨 것은 을사의 변이라는 자신의 과거를 부정한다는 의미였다. 이는 군신들이 덴지 천황을 믿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고, 덴지 천황은 신뢰 회복을 위해 상당한 기간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와후 시고(諡号)는 '''아메미코토히라카스와케노미코토'''(天命開別尊) 또는 '''아마츠미코토사키와케노미코토'''이다. 간푸 시고(漢風諡号)인 '''덴지 천황'''은 역대 천황의 한풍시호와 마찬가지로, 나라 시대에 오미노 미후네가 찬진(撰進)했다. 모리 오가이는 『제시고』에서 그 전거로 『이주서』 세포해, 『회남자』 주술훈, 『한비자』 해노편을 후보로 제시하고 있다.
5. 문화
만요슈에는 덴지 천황과 황후가 쓴 것으로 여겨지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덴지 천황의 시 중 하나는 후지와라노 테이카에 의해 대중적인 백인일수 선집의 첫 번째 시로 선택되었다.[13] 그의 사후, 그의 부인인 야마토 황후는 남편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노래를 지었다.[14]
덴지 천황은 만엽집에 4수의 노래가 전해지는 만엽가인이기도 하다. 백인일수에서는 헤이안 왕조의 태조로서 존경받아, 다음과 같은 노래가 맨 앞에 실려 있다.
- 가을 논의 벼 베는 초가집의 억새풀이 거칠어, 내 옷소매는 이슬에 젖네秋の田のかりほの庵の苫をあらみわが衣手は露にぬれつつ|아키노 타노 카리호노 이오노 토마오 아라미 와가 코로모데와 츠유니 누레츠츠일본어
- : "지붕을 덮은 억새풀이 거칠어서, 내 소매는 밤이슬에 축축하게 젖었네." 농민을 생각하며 읊은 노래로 백인일수의 첫 번째 노래이다.
만엽집에는 다음 한 수도 있다. 야마토 삼산을 읊은 노래라고 전해지지만, 원문은 가구야마가 아닌 다카야마이며, 야마토의 아메노카구야마가 아니며, 우네비나 미미나시는 산이 아니라는 등 많은 이견이 있다.
- 가구 산은 우네비산을 사랑하고 미미나시 산과 서로 다투었지, 신대부터 그러했으리, 옛날에도 그러했으니, 지금의 세상도 아내를 다투는구나香具山は畝傍ををしと耳成と相争ひき神代よりかくにあるらしいにしへもしかにあれこそうつせみも妻を争ふらしき|가구야마와 우네비오 오시토 미미나시토 아이아라소이키 가무요요리 가쿠니 아루라시 이니시에모 시카니 아레코소 우쓰세미모 쓰마오 아라소우라시키일본어
- : 원문「다카야마는 우네비산을 사랑하는 남자와 미미나시와 서로 다투었네, 신대부터 이렇게 되었구나, 옛날에도 그러했으니, 헛된 매미도 아내를 서로 다투는구나」
덴지 천황이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삼국기(KBS, 1992년~1993년, 배우:이광기)
- 대왕의 꿈(KBS, 2012년~2013년, 배우:안홍진)
- 이노우에 야스시 저, 누카타노 오오키미|누카타노 오키미일본어 신초샤<신초 문고>, 1972년 10월. 1980년에 TV 아사히에서 드라마화 (출연: 곤도 마사오미).
- 구로이와 주고 저, 나카노 오오에 황자전일본어 고단샤, 2001년.
- 나카무라 마리코 저, 덴지 천황과 텐무 천황-신설·일본서기-|덴지 천황과 텐무 천황-신설·일본서기-일본어
- 테즈카 오사무 저, 불새 태양편일본어
- 사토나카 마치코 저, 천상의 무지개일본어
- 다이카 개신일본어(NHK, 2005년, 출연: 오구리 슌)
- 소니시 켄지 저, 고양이 고양이 일본사일본어(텔레비전 애니메이션 판의 배역은, 고바야시 유)
5. 1. 시가(詩歌)
만요슈에는 덴지 천황과 황후가 쓴 것으로 여겨지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도널드 킨에 따르면, 발전하는 ''만요슈'' 연구가 "세 개의 언덕"과 같은 단순한 이야기의 해석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 시는 오랫동안 두 개의 남성 언덕이 여성 언덕을 두고 다투는 내용으로 여겨졌지만, 현재 학자들은 가구와 미미나시가 같은 남성 언덕인 우네비를 사랑하는 여성 언덕일 수도 있다고 본다.[11] 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수수께끼 같은 시는 덴지 천황이 사이메이 천황 치세 동안 황태자였을 때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일본어 원문 | 로마자 표기 | 한국어 번역 |
---|---|---|
| | | |
그의 시 중 하나는 후지와라노 테이카에 의해 대중적인 백인일수 선집의 첫 번째 시로 선택되었다.
일본어 원문 | 로마자 표기 | 한국어 번역 |
---|---|---|
| | | |
그의 사후, 그의 부인인 야마토 황후는 남편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노래를 지었다.[14] 만엽집에 4수의 노래가 전해지는 만엽가인이기도 하다. 백인일수에서도 헤이안 왕조의 태조로서 존경받아, 다음과 같은 노래가 맨 앞에 실려 있다.
- 가을 논의 벼 베는 초가집의 억새풀이 거칠어, 내 옷소매는 이슬에 젖네秋の田のかりほの庵の苫をあらみわが衣手は露にぬれつつ일본어
- : "지붕을 덮은 억새풀이 거칠어서, 내 소매는 밤이슬에 축축하게 젖었네." 농민을 생각하며 읊은 노래로 백인일수의 첫 번째 노래이다.
만엽집에는 다음 한 수도 있다. 야마토 삼산을 읊은 노래라고 전해지지만, 원문은 가구야마가 아닌 다카야마이며, 야마토의 아메노카구야마가 아니며, 우네비나 미미나시는 산이 아니라는 등 많은 이견이 있다.
- 가구 산은 우네비산을 사랑하고 미미나시 산과 서로 다투었지, 신대부터 그러했으리, 옛날에도 그러했으니, 지금의 세상도 아내를 다투는구나香具山は畝傍ををしと耳成と相争ひき神代よりかくにあるらしいにしへもしかにあれこそうつせみも妻を争ふらしき일본어
- : 원문「다카야마는 우네비산을 사랑하는 남자와 미미나시와 서로 다투었네, 신대부터 이렇게 되었구나, 옛날에도 그러했으니, 헛된 매미도 아내를 서로 다투는구나」
5. 2. 덴지 천황이 등장하는 작품
- 삼국기(KBS, 1992년~1993년, 배우:이광기)
- 대왕의 꿈(KBS, 2012년~2013년, 배우:안홍진)
- 이노우에 야스시 저, 누카타노 오오키미일본어 신초샤<신초 문고>, 1972년 10월. ISBN 4101063192. 1980년에 TV 아사히에서 드라마화 (출연: 곤도 마사오미).
- 구로이와 주고 저, 나카노 오오에 황자전일본어 고단샤, 2001년. 이후 문고
- 나카무라 마리코 저, 덴지 천황과 텐무 천황-신설·일본서기-일본어
- 테즈카 오사무 저, 불새 태양편일본어
- 사토나카 마치코 저, 천상의 무지개일본어
- 다이카 개신일본어(NHK, 2005년, 출연: 오구리 슌)
- 소니시 켄지 저, 고양이 고양이 일본사일본어(텔레비전 애니메이션 판의 배역은, 고바야시 유)
참조
[1]
서적
Jinnō Shōtōki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3]
서적
[4]
서적
Nihongi
https://books.google[...]
[5]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6]
서적
The Early Institutional Life of Japan
[7]
서적
Gukanshō
[8]
서적
[9]
웹사이트
天智天皇 (38)
http://www.kunaicho.[...]
[10]
서적
[11]
서적
The Manyōshū
[12]
서적
[13]
간행물
Hyakunin-Isshu: Single Songs of a Hundred Poets
Transactions of the Asia Society of Japan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웹사이트
https://www.megalith[...]
2023-10-21
[19]
웹사이트
漏刻について
http://oumijingu.org[...]
近江神宮時計館宝物館
2018-08-19
[20]
서적
藤原不比等
吉川弘文館
[21]
서적
蘇我氏 古代豪族の興亡
中央公論新社
[22]
서적
田辺聖子の古典まんだら
新潮社
[23]
문서
아마츠미코토사키와케노미코토(あまつみことさきわけのみこと)로 읽기도 한다.
[24]
문서
메이지 시대의 학자 모리 오가이(森鷗外)에 따르면, 나라 시대의 학자 오우미노 미후네(淡海三船)에 의해 찬진된 덴지 천황의 중국식 시호는 고대 중국 은나라의 마지막 왕 주왕(紂王)의 애용품이었다는 천지옥(天智玉)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25]
문서
'오에(大兄)'란 같은 어머니를 둔 형제 가운데 맏아들에 상당하는 황위계승자격을 가리키며, '나카노오에'란 '서열 2위 계승자'라는 의미가 된다.
[26]
서적
삼국사기
https://www.wikisour[...]
[27]
문서
군주가 사망한 뒤 차기 군주가 될 사람이나 선대 군주의 왕비가 즉위하지 않은 상태로 정무를 맡아보는 것. 섭정과 다른 점은 섭정의 경우는 군주로 불리는 존재가 이미 존재하고 있으나 칭제의 경우는 그 군주가 없는, 칭제를 맡고 있는 본인이 사실상의 군주나 그에 준하는 존재로서 다만 군주로서의 즉위만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28]
문서
덧붙여 사이메이 천황이 사망한(661년) 뒤에 나카노오에는 일단은 즉위하지 않고 칭제의 형식으로 국정을 맡았으므로 달력을 이해하기 어렵지만, 《일본서기》에서는 유년칭원법에 따라 천황의 기년을 표기하고 있기에, 일단은 사이메이 천황의 사망 이듬해(662년)가 덴지 천황의 '원년'에 상당한다.
[29]
문서
일본 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에 있던 군사제도
[30]
서적
일본서기
https://www.wikisour[...]
[31]
서적
일본서기
https://www.wikisour[...]
[32]
문서
산성은 이전 일본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방어시설물로서 백제 망명세력의 지도하에 축조되는데 이를 조선식산성이라 부른다.
[33]
서적
일본서기
https://www.wikisour[...]
[34]
서적
일본역사
보고사
[35]
서적
해동제국기
[36]
서적
일본서기
[37]
문서
해동제국기 관련 내용
[38]
문서
니혼쇼키 관련 내용
[39]
서적
부상략기
[40]
문서
고분 시대와 팔각분
[41]
서적
역대제왕소운도 모방 황실족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